한국어 쓰기에서의 화용적 능력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주요 연구 분야는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 한국어 교육과정이다. “대학 전공 강의에서의 보호된 내용 수업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 연구(2023)”,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교양 교육과정 개발 연구(2020)” 등 대학의 유학생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연구를 이어 오고 있으며,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 등 정부 차원에서의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과 활용 연구에도 지속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1930년대 프롤레타리아 소설 재론: 여성, 노동, 섹슈얼리티」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주요 연구 분야는 한국 현대문학에 재현된 젠더와 노동, 섹슈얼리티, 인종주의, 식민주의, 사회운동이다. 주요 대표실적으로는 저서 『혁명적 여성들: 프롤레타리아 문학의 젠더, 노동, 섹슈얼리티』와 논문 "Proletarian Melodrama", 「공창폐지 운동과 그 유산」(2023), 「미군과 친밀한 관계에 있는 여성들이 폭로하는 한국사회의 모순과 민족적 가부장제의 폭력」(2022) 등이 있다.
한국어 어휘 교육 분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주요 연구 분야는 어휘 지식 및 어휘 교육, 이해 교육,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등이다. 주요 대표실적으로는 「한국어 교육에서의 이해 어휘와 표현 어휘의 관계」, 「한국어 듣기 평가에서 영상 자료의 역할」, 「메타버스 기반 한국어 수업의 설계 원리 및 적용 사례 연구」 등이 있다.
한국 고전소설의 「봉신연의」 전유 양상과 그 의미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주요 연구 분야는 한국과 중국의 고전소설 비교 연구, 이본 연구이다. 주요 대표 실적으로는 「환상과 도술을 통해 본 「전우치전」과 신마소설의 관계」(2022), 「세책본 계열 「김원전」의 특징과 의미」(2024) 등이 있다.